관형사의 종류 : 관형사는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성상, 지시, 수 관형사로 나누어진다.
㈀ 성상 관형사 :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‘어떠한’의 방식으로 꾸며주는 구실을 함
의 미 | 용 례 |
상 태 | 고유어계: 온갖, 새, 헌, 헛, 윗, 뒷, 온, 뭇, 외딴, 참, 거짓 한자어계: 순(純) 주(主), 정(正), 준(準), 대(大), 소(小) … |
정 도 | 고유어계: 고작, 겨우, 진짜 / 한자어계: 단지(但只), 유독(惟獨), 무려(無慮), 약(若)… |
㈁ 지시 관형사 :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관형사
의 미 | 용 례 |
공 간 | 이, 그, 저, 요, 고, 조, 이런, 그런, 저런, 다른(他)<다른(異) - 형용사>, 뭇, 무슨, 아무 … |
시 간 | 옛, 올, 현(現), 신(新), 구(舊), 전(前), 후(後), 래(來) … |
㈂ 수 관형사 :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
의 미 | 용 례 | |
양 수 | 한, 두, 세(석, 서), 네(넉, 너), 다섯(닷), 엿, 일곱, 여뎗, 아홉, 열, 열한, 열두, 열세(석, 서),…스무, 스물한, 스물두…, 한두, 두세, 서너, 너댓… | |
서 수 | 정 수 | 첫, 첫째, 둘째, 셋째, …제일(第一), 제이(第二) … |
부정수 | 한두째, 주어째, 몇째, 여남은째 …, 몇몇, 여러 …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