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강의실
  • 시험정보
  • 학습 Q&A
  • 이용안내
심층분석
  • (공중보건) 인구변천 단계

  • Notestein과 Thompson의 학설

    인구의 변천은 경제 성장과 병행하여 다음과 같이 3단계의 시기를 거친다

    (1) 제1단계:수만년간 세계인구가 겪어 온 다산다사형으로 고 잠재적 성장단계라 할 수 있고 현재 세계인구의 약 1/5이 이 시기에 있다고 보는데, 높은 영아사망률이 특징이다.

    (2) 제2단계:고출생 저사망형으로서 높은 자연증가률을 보이는 과도기적 성장단계이며 개발도상에 있는 세계인구의 3/5이 이에 속한다.

    (3) 제3단계:소산소사형으로서 인구감소의 시기이며 점차 인구가 현상 유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단계이다. 현재 세계인구의 1/5이 이에 속하며 정지인구 등이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.

     

    vs

     

    C. P. Blacker의 학설

    국가별로 인구성장률에 많은 차이가 있어 인구 변천을 3단계로 구분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Blacker는 5단계로 구분

    (1) 제1단계:고위정지기로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높아 인구는 정지 상태에 있거나 서서히 증가하는 시기(중부 아프리카 국가들).

    (2) 제2단계:초기확장기로 경제발전의 시작 시기. 환경위생 개선에 주력, 의식주 생활수준 증가, 평균수명과 수태율이 증가되어 출생률이 증가하는 시기(한국,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, 북부아프리카국가들).

    (3) 제3단계:후기확장기로 산업발달로 도시화 현상, 핵가족주의로의 탈바꿈, 가족계획, 출생률이 감소되기 시작하고 사망률도 떨어져서 인구성장이 둔화된다(한국, 스리랑카, 남아프리카, 중앙아메리카, 열대 남아메리카).

    (4) 제4단계:저위정지기로 사망률과 출생률이 최저선에서 유지되어 인구증가가 정지된다(이탈리아, 소련, 중동아시아, 온대 남아메리카, 일본 등).

    (5) 제5단계:감퇴기로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져 인구가 감소되는 시기(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국가들, 북아메리카, 오스트레일리아, 뉴질랜드).

     

    vs

     

    인구변천 4단계

    (1) 1단계(다산다사, 초기안정기) : 산업화 초기 다산다사(In pre-industrial society, death rates and birth rates were both high)

    (2) 2단계(다산감사, 초기팽창기) : 사망률 감소에 따른 인구 증가기(This stage leads to a fall in death rates and an increase in population)

    (3) 3단계(감산소사, 후기팽창기) : 출생률 감소되면서 인구는 안정기에 들어섬(Stage Three moves the population towards stability through a decline in the birth rate)

    (4) 4단계(소산소사, 후기안정기) : 소산소사. 총인구는 증가한 상태로 안정적(birth and death rates are both low. Therefore the total population is high and stable)

인증마크

회사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

PC버전으로 보기

Copyright © Since 1998. duespec. All Rights Reserved.